햄보다 더 위험한 발암물질 음식, 의사들이 멀리하는 식품은?

겉보기엔 평범한 가공식품이지만, 우리가 무심코 먹는 음식 속에 햄보다 더 위험한 발암물질이 들어 있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세계보건기구(WHO)와 각국 보건 당국이 경고한 1급 발암물질 또는 발암 가능 성분이 포함된 식품들을 알려드릴게요.

햄보다-더-위험한-발암물질-음식-의사들이-멀리하는-식품은

1. 햄보다 더 위험한 '탄 고기' – 벤조피렌 경고

고기를 직화로 굽거나 태워 먹을 경우, 벤조피렌(Benzo[a]pyrene)이라는 강력한 발암물질이 생성됩니다. 이 물질은 석탄 연소 시 나오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일종으로,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1군 발암물질로 분류했습니다.

특히 불에 직접 닿아 검게 탄 부위에 고농도로 포함되며, 반복 섭취 시 간, 폐, 위장 등에서 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방 Tip: 고기는 직화보다는 팬에 먼저 익히거나, 삶거나 찌는 방식으로 조리하세요. 검게 탄 부위는 제거한 후 드시는 것이 좋아요.

2. 과자, 감자튀김 속 '아크릴아마이드' 주의

감자튀김, 스낵류, 일부 시리얼과 같은 전분이 많은 식품은 120℃ 이상의 고온에서 조리될 때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라는 화학물질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이 물질은 IARC에서 2A군(인간에게 발암 가능성 있음)으로 분류되었고, 신경독성 가능성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는 체중 대비 노출량이 높아 더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방 Tip: 튀기거나 바삭하게 굽기보다는 삶거나 찌는 조리법을 사용하고, 튀길 때는 갈색이 아닌 황금빛 정도로 조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가공육류 – WHO가 경고한 1군 발암물질

소시지, 햄, 베이컨 등 가공육류는 WHO에서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한 식품입니다. 이는 ‘발암성이 명확하게 입증되었다’는 뜻이며, 흡연, 석면 등과 같은 등급입니다. 단, 등급이 같다고 해서 위험도가 동일한 것은 아닙니다.

이들 식품에 들어 있는 아질산나트륨, 질산염 등의 보존제는 체내에서 니트로소아민이라는 발암물질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예방 Tip: 가공육 섭취는 하루 50g 이하로 제한하고, 달걀, 생선, 두부처럼 신선한 단백질로 대체해보세요.

4. 콜라·에너지음료 속 '카라멜 색소' – 4-메틸이미다졸

콜라, 갈색 에너지음료, 일부 간장류에는 카라멜 색소(E150c, E150d)가 들어 있으며, 이 과정에서 4-메틸이미다졸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해당 물질을 발암 가능 물질로 지정하고, 일정 기준 이상 함유 시 경고 라벨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다만, 일반적인 양으로 섭취할 경우에는 건강에 큰 문제가 없다고 보는 국가들도 많으며, 무엇보다 정해진 기준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방 Tip: 탄산음료는 무색·무첨가 제품을 선택하거나, 탄산수, 과일수로 대체해 보세요.

5. 트랜스지방이 숨어 있는 마가린·크림류

마가린, 인스턴트 크림, 일부 쿠키나 케이크에는 트랜스지방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 합성 지방은 L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고, HDL을 감소시켜 심혈관 질환과 염증, 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WHO는 전 세계적으로 트랜스지방 퇴출을 권고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규제하고 있으나 ‘0g 표기’는 완전 무첨가를 의미하지 않을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합니다.

예방 Tip:무(無)트랜스지방’ 표시를 확인하고, 원재료명에 부분경화유가 들어 있으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하며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먹는 음식 중에도 조리법, 첨가물, 보관 방식 등에 따라 발암물질이 생성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무조건 피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성분이 위험한지 알고 현명하게 선택하는 습관입니다.

소소한 식습관의 변화가 건강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예방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정보가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앞으로도 더 건강한 선택 하실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